‘21년 ESG 평가등급: A (평가기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중 가장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는 고객으로, 고객중심경영은 기업이 지속가능하기 위한 필수적인 원칙 중의 하나입니다. 이에 기업들은 고객 중심 경영을 지속가능 경영 및 생존 경영으로 인식하여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품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미래 친환경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건/세대
4건
BIO/수소/에너지/재활용/미래소재 등 과제 탐색 Key Index : 친환경 연구 과제 발굴
13,307.4 백만 원
62명
기업은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기업시민으로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지역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77억 원
10%
97,223명 (COVID-19로 인해 2020년 방문자 수 감소)
3,080시간
810명
기업은 관계 분야와의 다양한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속 가능한 공급망 관리를 통한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가치사슬 내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대·중소기업 간 상생을 위한 노력과 책임으로 산업의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습니다.
1,000억원 조성 (직접자금 500억/상생펀드 500억원)
노무비닷컴 도입 및이체수수료 전액 지원
50% 감면 및 발급 수수료 지원 (Best Partners 대상)
100% 현금 지급(15일내)
임직원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보건 증진을 위한 근무 환경 조성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정부의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등 안전관리 규제가 강화되는 등 체계적인 안전보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2,793명 (2019.01~2020.12)
188개
0건
기업의 혁신과 창의성의 원천으로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며 이들이 오랫동안 회사에서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인재경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DL은 한숲인상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인재육성 전략을 수립,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근로자 인권존중 및 수평적 조직문화를 통해 인재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21개
2배 (전년 대비 여성 임원/보직자 수)
100%
100%
72시간 교육 참여 (법정교육 外)
국제사회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책 및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국가는 ‘2050 Net-Zero’ 목표를 선언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선언 및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출범하고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추가 상향을 예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도 경영 활동 전반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리스크의 선제적 대응 및 관리 역량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량 감축 활동, 온실가스 감축 사업 확장 등 환경경영 투자 및 지출로 전사차원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7%
99.8% (2020년 목표 달성률 100%)
40.2% (2020년 목표 달성률 100%)
0건
DL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노력과 성과를 담았습니다.
회사의 한 해 성과 및 활동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경영 활동에 반영하겠습니다.